2010년 10월 26일 화요일

무게

소득과 행복과의 관계를 이야기하면서 항상 나오는 나라가 방글라데시이다. 솔직하게 까놓고 이야기해서, 나의 소득과 방글라데시의 행복을 교환하라고 하면, 나는 쥐꼬리만한 지금 나의 소득을 계속 고집할거다. 나는 아닌척 하지만 속물이고, 방글라데시인의 행복은 동굴에서 느끼는 편안함이라고 확신한다.

비슷하게 자유와 행복 역시 비례하지 않는다. 무한한 자유가 주어지면 행복할 것 같지만, 대신에, 폼나게는 고독, 찌질하게는 외로움이라는 반대 급부를 지불해야 한다. 왜냐하면, 자유도 그에 따른 책임도 오로지 자신에게 귀속되기 때문이다. 권력을 쥐면 (책임이 뒤따르지 않는) 자유를 얻게 되고, 또한 출세를 바라 우글거리는 사람들 속에서 외로울 새가 없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권력을 가진다는 것은 다른 말로 하자면, 다른 더 큰 힘이나 권위에 코가 꿰는 것 아니던가. 그것이 자유겠는가.

오늘은 뭘 해야할지 몰라서 무기력한 날이었다. 이런 날이 제일 싫다.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시간에, 막상 무얼 해야할지 몰라서 멍청하게 시간을 보냈다. 의무를 수행하지 못할 때 느끼는 무력감과는 좀 다르다. “나는 결국 주체적일 능력이 없는 인간인가” 하는 의심은, “넌 왜 이것 밖에 못했어” 하는 질책보다 더 무거운 무게로 다가온다. 후회를 담은 하루가 지나갔다. 비슷하게, 감당하지도 못할 자유를 찾아 사소한 행복을 포기한 것을 후회하면서, 한 번 뿐인 생을 마감하는 순간을 맞이하지 않을까. 무섭다. 그리고 두렵다.

그렇지만 나는 확신한다. 부자유스러움이 주는 편안함은 마약이다. 그 왜 유명한 말 있지 않는가, Die Religion ist das Opium des Volks.라고. 종교의 의미를 조금 더 확장해도, 여전히 이 유명한 문구는 유효하다. 종교를 믿는다고 죽고 나서 불지옥에서 고통스럽게 그슬릴지 모른다는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직장에 종교처럼 헌신한다고 해서 최소한 일신의 안녕이 보장되는 시기도 지난 것 같아 보인다. 주변사람들과 잘 지내고 항상 착하게 살면 해코지 안받는다는 말만큼 어린 나이에 부정하게 되는 문구도 없을 것이다. 이런 것들은 살면서 뭔가 잘못 되었을 때, 그 책임을 뒤집어 씌울 내가 아닌 대상들이다. 신이건 직장이건 이웃·가족들이건. (그것에 복수를 할 수 있든 없든) 그것이 우상 아닌가 한다.

나는 자유롭게도 살고 싶지만, 행복하게도 살고 싶다. 책임이라는 무거운 족쇄가, 자유라는 날개와 함께 주어질 수 밖에 것이라면, 역시 어쨌든 족쇄와 함께 날아오르는 수 밖에는 없지 않겠는가. 그런데 내가 아는 한, 자유와 책임은 그 크기가 항상 같아야 한다. 어쩌면 좋을지 모르겠다.

(그게 당위라는 생각을 깨세요. 사고의 틀을 깨고, 자신을 둘러싸는 굴레를 벗어나는 거지요.)
(네이버에는 굴레를 한참 벗어나신 분들 뉴스가 항상 톱이랍니다.-_-)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