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fontspec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fontspec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9월 10일 토요일

만주문자 식자

신문에서 재미있는 기획연재물을 보면, 스크랩해 놓기도 한다. 그러다가 TeX을 알게 되고 난 다음에는, 브라우저에서 기사를 긁어서 TeX 형식으로 간단한 편집을 해서 저장을 해 놓게 되었다.

이 주 쯤 전에 지인을 만나, 요즘 모으고 있는 그 연재물에서 읽었던 내용을 이야기한 적이 있다. 집에 돌아와서 스크랩 한 것을 보내주면 어떨까 생각했었는데, 아무래도 신문기사에 난 것이다 보니, 이것 저것 정보를 더 보태고 싶어졌다. 등장하는 역사 인물의 한자 이름과 생몰년도 따위를 추가하고, 간단히 언급된 사실에 대하여 내가 아는 대로 좀 더 보충하고, 뭐 그런 짓을 하고 싶어졌던 것이다.

요즘은 인터넷이 하도 좋아져서 어지간한 자료는 인터넷에서 다 찿아졌다. 생몰년을 찾으려고 사람 이름으로 검색하면, 위키로 들어가서 항목을 읽게 되는데, 유명한 인물을 찿을 때 조차도 완전히 처음 알게되는 그런 일화들에 빠져들게 되면서, 작업이 상당히 지체되었다. 또한 그러면서 또 배움이 있어 한편으로는 즐거웠다.

나는 아는 바가 일천하게 그지 없지만, 원전에 대한 욕구는 강한 편이다. 일종의 속물근성이기도 하다. 그런데, 인물의 생몰년을 찾는 과정과 요 몹쓸 속물근성이 합쳐지면서 상당히 곤란한 지경에 빠져들게 되었다. 찾는 인물중에 누르하치와 홍타이지가 나왔던 것이다. 생몰년은 크게 상관이 없다. 문제는 이름이다. 이 사람들은 중국사람이 아니니까 오른쪽에 붙은 괄호 안에 음차된 한자를 적어 넣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 따라서 만주문자를 붙여 넣어야 되는데, 이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일단 다언어 식자를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는 XeTeX로 컴파일 할 수 있게 약간의 수정을 했다. 그리고 fontspec 팩키지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KTUG에서 배웠다. 그런데 문제는 만주문자 폰트였다. 처음에 찾은 것은 만주문자를 키보를 통해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었다. 말하자면 날개셋 같은 프로그램이었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에 딸려 나오게 되어 있는 만주어 폰트를 찾아서 깔고, 테스트를 해 보았는데,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만주문자는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단독·어두·어중·어미에서 쓰일 때 그 모습이 변화하는데, 방금 깔았던 그 만주어 폰트는 그 과정을 완전히 처리하지 못했다. 어두형이 중간에 박히거나 하는 식이었다. 깨끗하게 포기하고, 프로그램과 폰트를 지웠다.

다음에 찾아 낸 프로그램은 중국인이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입력창에 로마자로음차된 만주문자를 쳐 넣으면, 그것을 기초로 하여 만주문자를 짜 내 비트맵 형식으로 오른쪽에 출력하였다. 즉 범용으로 만주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도 아니고, 따라서 IME 설정을 건드릴 필요도 없다. 그런데 친절하게도 그 중간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 중간단계라는 것은 어두·어미·어말형이 각각 어떤 로마자에 할당되었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어두형은 로마자 I에, 어중형은 i에 각각 대응하도록 만든 것이다. 음차된 만주어를 어두·어중·어말형이 구분된 스크립트로 부호화 하고, 마지막으로 그 부호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는 만주문자를 출력하는 시스템이었던 것이다. 좀 엉성해 보이기는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얻은 출력물이 훨씬 퀄리티가 좋았다. 이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만주어 폰트는 유니코드의 만주·몽골 문자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로마자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인가, 그 프로그램의 만주어 폰트 이름은 Times New Manchu였다.

아, 나는 당연히 만주어 배운 적도, 할 줄도 모르나, 그 테스트라는 것은 간단히 그 만주어 모양을 (위키를 통해서) 알고 있는 누르하치나, 홍타이지 같은 만주 단어를 표시했을 때 얼마나 비슷하게 나오는가를 비교하는 것으로, 눈만 달려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이 폰트를 TeX에서 사용하는 것인데, 그 결과가 역시 예상했던 대로였다. 기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