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6월 4일 월요일

先 클로비스 문화

아메리카 대륙의 가장 오래된 구석기 문명으로 클로비스 문화가 알려져 있다. 빙하기에는 해수면이 낮아졌다. 그러자 얕은 바다였던 베링 해협이 수면 위로 드러났고, 이제는 지협이 된 땅을 걸어서, 클로비스 문화를 만든 사람들이 아메리카로 이동할 수 있었다. 이들은 알라스카에 머물다가, 동쪽의 로렌시아 빙상과 서쪽의 코디예라 빙상 사이의 통로를 통해 (또는 연안을 따라 배로) 남쪽으로 이동했다. 그리고는 나중에 클로비스 문화라고 이름 붙여질 유적들을 아메리카 대륙 곳곳에 남긴다는 가설이 있다. 이 가설에 따르면, 빙상 사이의 통로가 열린 것은 13,000년 전이기 때문에 이 시기 이전에는 클로비스 문화를 비롯하여 일체의 유적이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견되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그 이전 시기 유적이 미국과 남미에서 발견된다. 최초에는, 이들 유적들에 대한 연대측정의 신뢰성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이제는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다. 빙상 사이의 통로가 열리기 전에 이미 아메리카 대륙에는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클로비스 문화를 남긴 사람들이 베링 해협을 통해 건너왔다는 가설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이 유적들을 남긴 사람들이, 대서양을 건너 유럽에서 온 사람들이라는 주장이 있어 왔다. 예전에 포스팅을 남겼던 《1491》에서는, 그런 유적들의 존재만 언급되었었다.

사실 베링해협 설이 공격을 받는 또 다른 이유는, 클로비스 석기와 비슷한 유물이,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이주해 왔을 시베리아나 빙상이 녹기 전까지 머물렀을 알라스카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2만 년 전 프랑스와 이베리아 반도 일대에는 솔뤼트레 문화라는 구석기 문화가 꽃피고 있었다. 이 문화는 특별한 방법으로 얇게 가공된 뗀석기가 특징이다. 유명한 알타미라와 라스코 동굴벽화를 남긴 사람들이기도 하다. 몇몇 학자들은 클로비스 석기와 솔뤼트레 석기의 유사성에 주목했다. 하지만 솔뤼트레 문화가 번성했던 프랑스·스페인에서 북아메리카까지는 수 천 킬로미터의 바다가 가로놓여있다. 어떻게 이들이 건너갔겠는가? 그리고 솔뤼트레 문화의 유물 중에는 해양활동에 관련된 것들이 나오지 않는다.

솔뤼트레 가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이 문제에 대하여 이렇게 대답한다. 빙하기의 최전성기 때 해빙은 비스카야 만부터 뉴펀들랜드까지 남하했다. 당시의 사람들은 해빙을 따라서, 지금의 에스키모들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다사자 따위를 사냥하면서 대서양을 건널 수 있었다. 또한 빙하기 당시의 해수면은 지금보다 낮았기 때문에, 당시 바닷가에서 생활하던 솔뤼트레 문화 당시의 유적은 지금은 물에 잠겨있다. 따라서 해양생활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는 것은 자연스러울 수 있다. 상승한 해수면에 유적이 잠기는 문제는 아메리카 대륙 쪽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석기의 가공 방법 외의 유사한 특성이 북미의 유적에서 발견되지 않는 이유는 이주해 간 사람들이 솔뤼트레 문화의 일부만을 자신의 문화적으로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가설에 대하여 지구과학자들은 난색을 표한다. 기후모델에 따르면 당시의 북대서양은 지금의 에스키모들이 사냥하는 지역과는 달리 생태적으로 매우 빈약했으리라고 한다. 원양의 생태계는, 풍부한 영양이 공급되는 근해와는 상당히 다른데다가 그 때는 지역에 따라서 온도가 10도 낮은 빙하기였다. 따라서 사냥을 통해 식량을 조달하면서 바다를 건너는 일이 결코 쉽지 않았을 것이다. 빙하기가 극에 달했을 무렵에는 북미대륙의 빙상과 유럽의 빙상이 대서양으로 뻗어나가 연결되면서, 지금 남극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거대한 빙붕을 형성하였을 것이라는 논문도 찾아볼 수 있었다. 춤베르게 빙붕이론인데, 빙붕을 걸어서 건너는 일은 카약 같은 배를 타고 유빙이 떠다니는 바다를 건너는 것보다 안전할 수는 있었겠다. 그러나 이 빙붕이 실존했다 하더라도, 솔뤼트레 사람들이 생태학적으로 사막보다 빈약했을 빙붕을 100일 넘게 걸어서 건널 수 있기란 쉽지 않았을 것 같다.

솔뤼트레 가설의 가장 큰 취약점은 유전학적 증거이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아시아계라는 사실은 반론의 여지가 없이 명확하다. 미토콘드리아 디옥시리보핵산 검사에 따르면, 원주민중의 일부는 비록 좀 계통이 멀긴 하지만 하플로 군 X라는 것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하플로 군 X는 유럽과 서아시아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그렇다면 이 유전자가 솔뤼트레 인들의 아메리카 상륙 흔적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지만 근래의 논문들은 이 하플로군 X가 솔뤼트레 가설을 지지해 주는 증거는 되지 못한다고 한다.

솔뤼트레 가설이라는 것을 접하게 된 기사는, 이 가설의 주창자인 데니스 스텐포드와 브루스 브레들리의 새로운 책을 소개하면서, 이 가설을 상당히 설득력 있는 가설로 묘사했지만, 좀 더 찾아본 영미권 자료들은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로렌시아 빙상과 코리예라 빙상 사이의 회랑이 열리기 이전 시점으로 소급되는 유적들을 설명하는, 현재로서의 최선의 설명은, 회랑의 개통 이전에 사람들이 배를 통해 아메리카 대륙의 연안을 따라 이동해 들어갔다는 설명인 듯 하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클로비스 석기의 조상이랄 만한 석기의 흔적이 시베리아와 알라스카에서 발견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한 결론을 내리는데 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