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바이에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바이에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8월 21일 수요일

필스너와 헬레스

바이에른 지방을 여행할 일이 있다면 당연히 맥주를 즐길 계획을 세울 것이다. 독일의 맥주는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특히나 뮌헨을 위시한 바이에른은 맥주로 한 자부심 하는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세 종류의 맥주가 특히 많이 소비된다. 밀 맥주로 알려져 있는 상면발효맥주인 바이스비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맥주 종류인 필스너, 그리고 특히 바이에른에서 특히 집중적으로 소비되는 헬레스이다. 사실 바이에른에서는 필스너보다 헬레스가 훨씬 더 대중적이다.

뿌연 색이 특징적인 바이스비어와는 달리 헬레스와 필스너는 둘 다 맑은 색을 띄는 하면발효맥주이다. 그리고 식당에서 주문을 한다면 필스너와 헬레스는 서로 다른 잔에 따라져서 나올 것이다. 그렇다면 헬레스와 필스너 맥주 그 자체는 어떻게 다른가?

가장 직관적인 답은 맛이 다르다이다. 필스너에는 헬레스보다 홉이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씁쓸한 맛이 더 강하다. 반면 홉이 약한 헬레스는 담백하고 구수한 맛이 난다고 할까?

그런데 좀 더 역사적으로 들어가 보면, 물의 차이가 한 몫“했었다”. 석회암·사암지대인 바이에른의 물은 석회질이 많이 함유된 쎈물이 흐른다. 체코 지역의 암석은 변성암인데, 이 곳에 흐르는 물은 단물이다. 물에 염이 많이 함유된 쎈물에서 맥주가 발효되면, 효소가 덜 활성화되고 맥아와 홉의 녹는 성분이 달라지기 때문에 맛이 써지고 색이 어두워진다. 전통적인 뮌헨 맥주가 어두운 색인 이유가 이것이다. 반면 단물이 흐르는 체코에서는 더 맑은 색을 띄는 필스너를 만들 수 있었다. (맥주의 색은 당연히 맥아를 건조하는 과정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필스너는 연한 색을 띄는 맥아를 쓴다.) 현대에는 물의 염을 제거하는 공정이 발달했기 때문에 지역적인 물의 화학적 차이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면발효맥주는 낮은 온도에서 양조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숙성해야 하며, 냉장기술이 생기기 전에는 제조가 까다로운 반면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보존이 가능하다. (한편 홉은 맥주의 부패를 지연시키는 역할도 한다.) 겨울이 길고, 얼음을 구하기 쉬운 바이에른이나 바덴-뷔르텐부르크 지역에서 15세기 경에 제조가 시작되었다. 1842년 체코의 필젠으로 스카우트 되어 갔던 양조장 요세프 그롤이 연한 색 맥아와 사츠 지방의 홉으로 만든 최초의 필스너 맥주를 만든다. 1872년 냉장기계의 발명으로 저온숙성을 위한 지하실 없이도 필스너 맥주를 만들수 있게 되었다.

바이에른에서 맥주를 마실 기회가 있다면, 필스너와 헬레스를 둘 다 맛보는 것을 추천한다. 홉이 약한 맥주의 맛을 볼 수 있는 기회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