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월 21일 토요일

疎外

신문에서 노동의 소외에 대한 기사를 읽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1201836345&code=900308)

사실 소외라는 단어를 철학 쪽에서 배우기 전까지는 따돌림의 뜻으로 알고 있었다. 지금도 정확히 뭐를 의미하는 지는 잘 모르겠다. 일부의 사람들을 국외자로 만들 때, 소외시킨다는 정도로 자주 쓰인다.

사실 저 링크의 기사 중간에 나오는 마르크스의 인용문의 주술관계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문을 찾아보았다. 마르크스는 죽은 지 한 세기도 넘었기 때문에 그의 저작들은 더 이상 저작권으로 보호받지 못한다. 여기서 원문을 찾아 볼 수 있었다. (http://www.marxists.org/deutsch/archiv/marx-engels/1844/oek-phil/1-4_frem.htm) 외국어로 된 이 긴 글을 읽을만한 역량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인용된 부분만 찾아보았다.

Worin besteht nun die Entäußerung der Arbeit?
Erstens, daß die Arbeit dem Arbeiter äußerlich ist, d.h. nicht zu seinem Wesen gehört, daß er sich daher in seiner Arbeit nicht bejaht, sondern verneint, nicht wohl, sondern unglücklich fühlt, keine freie physische und geistige Energie entwickelt, sondern seine Physis abkasteit und seinen Geist ruiniert. Der Arbeiter fühlt sich daher erst außer der Arbeit bei sich und in der Arbeit außer sich. zu Hause ist er, wenn er nicht arbeitet, und wenn er arbeitet, ist er nicht zu Hans.
문장의 주술관계가 어긋나는 것은, 그 앞의 질문을 인용에서 소외시켰기 때문이었다. 아무래도 맨 마지막 단어는 Hans가 아니라 Hause인 것 같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