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월 20일 화요일

유치원 단상

1987년, 아침 8시 30분. 학생들의 등교가 끝난 늦은 아침. 동네 목욕탕 앞, 뽀뽀뽀를 보고 나온 유치원 꼬마들이 미니버스에 올라탔다. 이제는 기억도 가물가물해지는 동네를 돌아 버스가 유치원이 있는 비탈진 골목의 막다른 곳에 서면 유치원 아이들은 내려서 건물로 들어갔다.

유치원에는 사슴반, 토끼반, 병아리반 이렇게 세 반이 있었다. 국민학교에 들어가기 전 한 해만 유치원을 다녔던 나는 사슴반이었다. 유치원에서의 일과는, 거의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한달에 한 번 정도는 어디로 어디로 견학을 갔었던 걸로 봐서, 도시 변두리의 허름한 유치원이었지만, 의외로 내실 있는 곳이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점심시간에는 집사님이라는 사람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했었고, 밥 먹기 전에는 기도를 했었고, 발목 높이 정도 오는 단상은 선생님만 올라갈 수 있는 곳이라, 아이들이 올라갔다가는 손바닥을 맞았었다. 바닥에 깔아 놓은 카펫에는 딱 아이들이 앉을 만한 크기의 정사각형 격자무늬가 그려져 있었는데, 거기에 줄을 맞춰 앉아있었던 기억이 나는 것으로 보아 무슨 수업을 했음이 확실하다. 옆에는 힘 좋고 잘 치는 놈이 앉았었고, 왜 반에 하나씩은 있는 예쁜 여자애는 내 뒤에 앉았었던 것 같다. 이런 저런 동요를 배우기도 했었다. 한 번은 선생님이 칠판에 줄 다섯개를 그어 놓고, 계이를 도를 그리라고 키크고 퉁퉁했던 어떤 아이를 시켰는데, 그 놈은 말귀를 못 알아듯고 칠판에 한글로 '도'를 적었다. 그 필체가 어른의 필체를 닮아 휘갈겨 썼던 지라 어린 나는 내심 놀랐다. 또 1000원 짜리를 세로로 두 번 꼽쳐 접으면 딱 맞는 손바닥 만한 백원짜리 자꾸 달린 지갑에 한 달에 한 번씩 1000원 씩 가져 와서 모의 저축을 하는, 저축 습관을 들이는 교육을 하기도 했었다. 1학기 때 선생님은 예뻤었는데, 2학기가 시작될 때에는, 지금 떠올려보면 귀엽게 생긴, 다른 선생님으로 바뀌었었다. 원래 선생님은 엄마한테 듣기로는 미국으로 시집갔다고 했다.

나는 김치를 싫어하는 아이였다. 점심 때 콩나물무침은 그래도 먹겠는데, 김치는 정말이지 먹기 힘들었다. 당연하게도 잔반을 남기지 못하게 하는 것은 내가 다니던 유치원에도 마찬가지였다. 꾸역꾸역 입에 밀어넣었던 기억이 난다. 콩자반은 바퀴벌레나 콩벌레를 떠올리지만 않는다면 맛있는 음식이었고, 오뎅무침 같은 것도 나왔던 것 같다. 나는 편식이 심한 아이었기 때문에 특히나 더 곤욕스러웠다. 어른의 입장에서 볼 때 먹기 싫은 음식은 억지로 처 먹이는 건 심각한 수준의 인권유린이다. 하지만 어린이들에게, 애들이 좋아한다고, 단 것만 먹도록 놓아 두는 것도 역시 아동학대이다. 교육의 관점에서 음식을 억지로 먹여야 하는 것인가? 입맛은 나이에 따라 변하니까 식성에 대한 아이의 기호를 인정해야 할까?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지 않을 한 두가지 음식에 대한 편식은 관용해야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아직도 나는 오이는 죽어도 입에 못 대지만, 그게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 보육원 학대에 대한 기사의 댓글에서 잔반강요에 대한 분노를 보면서 억지로 김치를 삼켜야 했던 유치원 시절이 떠올랐었다. 김치의 맛은, 혼자 대학다닐 때, 식당 음식을 돈아깝다고 반찬까지 싹 먹기 시작하면서부터 알게 된 것이다.

집으로 돌아오는 시각이 언제였는지는, 이제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교길에 있었던 일에 대한 유일한 기억은, 양정에서 거제리로 오는 복개천 옆으로 아침의 그 미니버스가 지나가는 장면이다. 창 밖으로는 어느 미장원이 지나쳤었고, 그 길은 매일 가는 길보다 훨씬 더 돌아가는 길이었다. 양정까지 가다니. 비가 오려고 해가 높은 구름에 가린 날씨였고, 나는 자리에 앉지 않고 팔걸이에 걸터 앉아 있었기 때문에 기사 양반이 내 허벅지를 아프도록 꼬집었었다. 초여름이었다. 87년 초여름. 역시 불완전한 기억이지만, 그 해 유치원에서는 여름방학이라는게 좀 길게 있었던 것 같다. 그 여름 방학 때 무엇을 했는지는 역시 기억이 나지 않는다. 다만 원래 유치원에는 그런 게 없는데, 올해는 특별히 여름방학이 있다고, 그런 말을 들었던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졸업은 아마 88년 2월이었을 것이다. 졸업식 동안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역시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 날은 맑았고, 유치원과 집 사이에 있던 새로 생긴 아파트단지를 통과해 집으로 엄마와 함께 걸어왔다. 거기는 원래 공장이 있던 자리였는데, 그보다 더 어릴 때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는 공터에서 놀기도 했었다. 사실은 그 때 우리 집이 있던 주거지역도, 그 공장 종업원들이 주로 살던 곳이라고 했다. 졸업 선물이라고 받은 것은 치약걸이었다. 나는 그걸 어떻게 치약으로 쓸 수 있는지를 궁금해 했었다. 치약걸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던 것이었다. 그 치약걸이는 내가 집을 떠날 때까지 집에 걸려 있었다.

기억을 되살려 보려고 구글 스트리트뷰를 켰다. 건물은 도색을 다시 했지만 아직 거기 서 있었다. 다만, '마', '리', '아', '유', '아', '원' 이라고 한 글자마다 따로 간판에 써서 건물에 걸어 놓았던 그 간판은 사라지고 없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